맨위로가기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경기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와 고양시, 안산시, 화성시에서 개최되었다. 총 6개 경기장에서 조별 리그, 8강, 준결승, 3·4위전, 결승전이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 태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11개국이 참가했다. 조별 리그를 거쳐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대한민국 등이 8강에 진출했으며, 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본을 3-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2014년 아시안 게임에 관한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4년 아시안 게임에 관한 - 2014년 아시안 게임 배구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배구는 송림체육관과 안산상록수체육관에서 여러 국가 대표팀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여자 배구 금메달, 남자 배구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대회 개요
종목축구
세부 종목여자
대회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픽토그램
축구 픽토그램
아시안 게임 로고
아시안 게임 로고
개최지인천
경기장남동 아시아드 럭비 경기장
문학 경기장
와~ 스타디움
고양 종합운동장
화성 종합 경기 타운
인천 축구 전용 경기장
기간2014년 9월 14일 – 2014년 10월 1일
참가 선수198명
참가 국가11개국
메달 정보
금메달(3번째 우승)
대회 기록
이전 대회2010 광저우
다음 대회2018 자카르타

2. 경기장

wikitable

도시경기장수용 인원경기
인천인천축구전용경기장20,891준결승전, 동메달 결정전
고양고양종합운동장41,3118강전
인천인천문학경기장49,084여자 A조, 여자 B조, 결승전
안산안산와스타디움35,0008강전
화성화성종합경기타운35,2708강전
인천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5,078여자 A조, 여자 B조, 여자 C조



인천
문학경기장인천 축구 경기장남동 아시아드 럭비 경기장
수용 인원: 49,084수용 인원: 20,891수용 인원: 5,078
220px
220px
고양안산화성
고양종합운동장와~ 스타디움화성종합경기타운
수용 인원: 41,311수용 인원: 35,000수용 인원: 35,270
220px
220px


3. 참가국 및 선수 명단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종목의 참가국 및 선수 명단은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여자 팀 명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조별 리그

모든 시간은 한국 표준시(UTC+09:00)를 기준으로 한다.

=== A조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A조 조별 리그는 대한민국, 태국, 인도, 몰디브가 속해 있었다. 경기는 2014년 9월 14일부터 9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대한민국3300280+289
태국3201205+156
인도31021520-53
몰디브3003038-380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고, 태국은 2승 1패로 8강에 진출했다. 인도는 1승 2패, 몰디브는 3패를 기록했다.

9월 14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인도와 몰디브의 경기에서는 인도가 15-0 대승을 거두었다. 이날 말리크는 5골, 윰남은 5골, 은간곰은 2골, 로이통밤, 벰벰, 이롬이 각각 1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열린 대한민국과 태국의 경기는 정설빈, 박희영, 유영아, 전가을, 최유리의 연속골로 대한민국이 5-0으로 승리했다.

9월 17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태국과 몰디브의 경기에서는 태국이 10-0으로 승리했다. 이날 롬옌/นิสา ร่มเย็นth은 3골, 손사이/กาญจนา สังข์เงินth는 4골, 브뚜앙/พิสมัย สอนไสย์th, 스리마니/อนุชศรา หมายเจริญth, 시스라움/วิลัยพร บุตรด้วงth이 각각 1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열린 대한민국과 인도의 경기는 전가을유영아가 각각 해트트릭을 기록하고, 박희영정설빈이 각각 2골을 넣어 대한민국이 10-0으로 승리했다.

9월 21일,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 열린 몰디브와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정설빈, 이소담, 송수란, 박희영, 신담영, 전가을, 권하늘(2골), 유영아(2골), 조소현, 최유리의 연속 득점으로 대한민국이 13-0 대승을 거두었다. 몰디브의 아미나스리자는 자책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태국과 인도의 경기에서는 태국이 10-0으로 승리했다. 롬옌/นิสา ร่มเย็นth이 4골, 숭응언/นภัทร สีเสริมth이 4골, 손사이/กาญจนา สังข์เงินth와 시스라움/วิลัยพร บุตรด้วงth이 각각 1골을 기록했다.

=== B조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B조의 경기는 인천에서 진행되었다. B조에는 일본, 중국, 중화 타이베이, 요르단이 편성되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일본3210150+157
중국321090+97
중화 타이베이301229-71
요르단3012219-171



9월 15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요르단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일본과 중국의 경기는 0-0 무승부였다. 9월 18일, 중국은 중화 타이베이를 4-0으로 꺾었고, 일본은 요르단을 12-0으로 대파했다. 9월 22일, 중화 타이베이는 일본에 0-3으로 패했고, 중국은 요르단을 5-0으로 이겼다.

결국 B조에서는 일본과 중국이 8강에 진출하였다.

=== C조 ===

C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홍콩이 경기를 치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베트남은 1승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홍콩은 2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200100+106
베트남21015503
홍콩2002010-100



9월 16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베트남을 5-0으로 이겼다. 김윤미가 2골, 김은주, 리예경, 정유리가 각각 1골씩을 기록했다.

9월 20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홍콩을 5-0으로 이겼다. 위정심, 리예경(2골), 호은별, 라은심이 득점했다.

9월 23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마지막 경기에서 베트남은 홍콩을 5-0으로 이겼다. 웡 소 한/黃素嫻중국어의 자책골, 응우옌 티 투옛 둥/Nguyễn Thị Tuyết Dungvi, 응우옌 티 쉬옌/Nguyễn Thị Xuyếnvi, 응우옌 티 민 응우엣/Nguyễn Thị Minh Nguyệtvi, 팜 하이옌/Phạm Hải Yếnvi이 득점했다.

===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

A조와 B조는 각 조의 최하위 팀과의 성적을 제외한 두 경기의 성적으로 각 조 세 팀의 성적을 비교하여 두 팀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중화 타이베이200207-70
홍콩2002010-100
인도2002020-200


4. 1. A조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A조 조별 리그는 대한민국, 태국, 인도, 몰디브가 속해 있었다. 경기는 2014년 9월 14일부터 9월 21일까지 진행되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대한민국3300280+289
태국3201205+156
인도31021520-53
몰디브3003038-380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고, 태국은 2승 1패로 8강에 진출했다. 인도는 1승 2패, 몰디브는 3패를 기록했다.

9월 14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인도와 몰디브의 경기에서는 인도가 15-0 대승을 거두었다. 이날 말리크는 5골, 윰남은 5골, 은간곰은 2골, 로이통밤, 벰벰, 이롬이 각각 1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열린 대한민국과 태국의 경기는 정설빈, 박희영, 유영아, 전가을, 최유리의 연속골로 대한민국이 5-0으로 승리했다.

9월 17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태국과 몰디브의 경기에서는 태국이 10-0으로 승리했다. 이날 롬옌은 3골, 손사이는 4골, 브뚜앙, 스리마니, 시스라움이 각각 1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열린 대한민국과 인도의 경기는 전가을유영아가 각각 해트트릭을 기록하고, 박희영정설빈이 각각 2골을 넣어 대한민국이 10-0으로 승리했다.

9월 21일,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 열린 몰디브와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정설빈, 이소담, 송수란, 박희영, 신담영, 전가을, 권하늘(2골), 유영아(2골), 조소현, 최유리의 연속 득점으로 대한민국이 13-0 대승을 거두었다. 몰디브의 아미나스리자는 자책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태국과 인도의 경기에서는 태국이 10-0으로 승리했다. 롬옌이 4골, 숭응언이 4골, 손사이와 시스라움이 각각 1골을 기록했다.

4. 2. B조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B조의 경기는 인천에서 진행되었다. B조에는 일본, 중국, 중화 타이베이, 요르단이 편성되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일본3210150+157
중국321090+97
중화 타이베이301229-71
요르단3012219-171



9월 15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요르단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일본과 중국의 경기는 0-0 무승부였다. 9월 18일, 중국은 중화 타이베이를 4-0으로 꺾었고, 일본은 요르단을 12-0으로 대파했다. 9월 22일, 중화 타이베이는 일본에 0-3으로 패했고, 중국은 요르단을 5-0으로 이겼다.

결국 B조에서는 일본과 중국이 8강에 진출하였다.

4. 3. C조

C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홍콩이 경기를 치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베트남은 1승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홍콩은 2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200100+106
베트남21015503
홍콩2002010-100



9월 16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인천)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베트남을 5-0으로 이겼다. 김윤미가 2골, 김은주, 리예경, 정유리가 각각 1골씩을 기록했다.

9월 20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홍콩을 5-0으로 이겼다. 위정심, 리예경(2골), 호은별, 라은심이 득점했다.

9월 23일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에서 열린 마지막 경기에서 베트남은 홍콩을 5-0으로 이겼다. 웡 소 한의 자책골, 응우옌 티 투옛 둥, 응우옌 티 쉬옌, 응우옌 티 민 응우엣, 팜 하이옌이 득점했다.

4. 4.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A조와 B조는 각 조의 최하위 팀과의 성적을 제외한 두 경기의 성적으로 각 조 세 팀의 성적을 비교하여 두 팀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중화 타이베이200207-70
홍콩2002010-100
인도2002020-200


5. 결선 토너먼트

'''8강전'''

9월 26일 16시, 고양종합운동장에서 태국베트남의 경기가 열렸으며, 로미엔이 득점하였으나 베트남의 응우옌 티 리에우와 응우옌 티 투엣 중이 득점하여 베트남이 2-1로 승리하였다. 같은 시각 안산와스타디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의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호은별의 득점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0으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20시,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는 일본홍콩의 경기가 열려, 마수야의 2골, 나카지마, 이와시미즈, 키류의 2골, 타카세, 스가사와의 득점과 홍콩의 자책골로 일본이 9-0 대승을 거두었다. 인천문학경기장에서는 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가 맞붙었으며, 전가을의 득점으로 대한민국이 1-0 승리를 거두었다.

'''준결승전'''

9월 29일 17시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일본베트남의 경기에서는 사카구치, 오사후네, 스가사와의 득점에 힘입어 일본이 3-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20시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는 정설빈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리예경과 호은별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3·4위전'''

대한민국베트남의 동메달 결정전은 2014년 10월 1일 17시에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렸다. 권하늘, 정설빈, 박희영이 득점하여 대한민국이 3-0으로 승리했다. 심판은 일본의 이마이즈미 나미가 맡았다.

'''결승전'''

2014년 10월 1일 20시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일본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김윤미, 라은심, 호은별이 득점하였고, 일본은 미야마가 득점하였다. 심판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케이트 자체비츠가 맡았다.

5. 1. 8강전

9월 26일 16시, 고양종합운동장에서 태국베트남의 경기가 열렸으며, 로미엔이 득점하였으나 베트남의 응우옌 티 리에우와 응우옌 티 투엣 중이 득점하여 베트남이 2-1로 승리하였다. 같은 시각 안산와스타디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의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호은별의 득점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0으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20시,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는 일본홍콩의 경기가 열려, 마수야의 2골, 나카지마, 이와시미즈, 키류의 2골, 타카세, 스가사와의 득점과 홍콩의 자책골로 일본이 9-0 대승을 거두었다. 인천문학경기장에서는 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가 맞붙었으며, 전가을의 득점으로 대한민국이 1-0 승리를 거두었다.

5. 2. 준결승전

9월 29일 17시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일본베트남의 경기에서는 사카구치 미즈호 (사카구치), 오사후네, 스가사와의 득점에 힘입어 일본이 3-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20시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는 정설빈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리예경과 호은별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5. 3. 3·4위전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동메달 결정전은 2014년 10월 1일 17시에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렸다. 권하늘, 정설빈, 박희영이 득점하여 대한민국이 3-0으로 승리했다. 심판은 일본의 이마이즈미 나미가 맡았다.

5. 4. 결승전



2014년 10월 1일 20시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일본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김윤미, 라은심, 호은별이 득점하였고, 일본은 미야마가 득점하였다. 심판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케이트 자체비츠가 맡았다.

6. 최종 순위

wikitable

순위경기수득실차승점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5500163+1315
2일본6411283+2513
3대한민국6501332+3115
4베트남5203712-56
5중국421191+87
6타이4202217+146
7중화 타이베이4013210-81
8홍콩3003019-190
9인도31021520-53
10요르단3012219-171
11몰디브3003038-380


7. 득점 순위

순위선수국가득점
1니사 로미엔 대한민국8
2유영아 대한민국7
3전가을 대한민국6
3정설빈 대한민국6
5양리 중국5
5카말라 데비 인도5
5사스미타 말릭 인도5
5사카구치 미즈호 일본5
5스가사와 유이카 일본5
5핏사마이 손사이 태국5
11박희영 대한민국4
11호은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
11리예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
11깐자나 숭느언 태국4
15카와스미 나호미 일본3
15키라 치나츠 일본3
15권하늘 대한민국3
15김윤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
19낭곰 발라 데비 인도2
19키류 나나세 일본2
19마스야 리카 일본2
19미야마 아야 일본2
19조유리 대한민국2
19라은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
19나팟 시스라움 태국2
19응우옌 티 투옛 중 베트남2
27한펑 중국1
27리둥나 중국1
27마준 중국1
27장루이 중국1
27이롬 프라메스와리 데비 인도1
27로이통밤 아샬라타 데비 인도1
27오이남 벰벰 데비 인도1
27스테파니 알나베르 요르단1
27마이샤 지바라 요르단1
27이와시미즈 아즈사 일본1
27나카지마 에미 일본1
27오사후네 카나 일본1
27다카세 메구미 일본1
27조소현 대한민국1
27이소담 대한민국1
27신담영 대한민국1
27송수란 대한민국1
27종유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27김은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27위종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27윌라이폰 부드왕 태국1
27오라타이 스리마니 태국1
27린야한 중화 타이베이1
27왕샹후이 중화 타이베이1
27응우옌 티 류 베트남1
27응우옌 티 민 응우옛 베트남1
27응우옌 티 쉬옌 베트남1
27팜하이옌 베트남1



'''자책골'''


  • 허잉 (일본전)
  • 웡소한 (베트남전)
  • 알라 아부-카셰 (일본전)
  • 아미나트 리자 (대한민국전)

8. 메달리스트

여자 축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